제 지인의 글이라 읽어볼 겸 공유합니다.
바이오솔루션은 제가 2008년에 지인의 소개로 매수하여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는 장외 종목입니다. 2번의 기업공개에서 미승인이 났는데, 기업의 기술력이라기 보다는 내부통제의 문제로 미승인이 났습니다.
대표이사의 도덕성이 문제가 되었다고 하는데, 깊은 내막은 있지요.
www.biosolution.co,kr 일겁니다 사이트가.
나름 티슈진에 필적할? 이란 말을 하는데, 오늘 티슈진이 마이너스로 끝나서 개인적으로는 우울합니다. ㅎㅎ
바이오솔루션의 주주 입장에서 올린 글 중에 나름 신빙성이 있는 내용이라 공유합니다.
바이솔루션의 파이프 라인
|
재품명 |
구성 |
적용질환 |
경과 |
비고 |
피부치료제 |
케라힐 |
자가피부각질세포 |
심부3도 |
판매 |
내년 건강보험 적용
|
케라힐-알로 |
동종피부각질세포 |
심부2도 |
판매 |
| |
케라힐Ⅱ |
복합피부세포 |
색소화 피부질환 |
비임상 |
비임상완료 | |
플루서브겔 |
줄기세포 이동관련 펩타이드 |
일반상처, 난치성상처 |
비임상 |
비임상완료
| |
관절염 |
카티라이프 |
자가연골세포 |
골관절염 |
품목허가 신청 |
2018년 시판예정 |
카티라이프-알로 |
동종연골세포 |
골관절염 |
비임상 |
비임상 진행
| |
리포카티젠 |
유전자 이입 줄기세포 |
골관절염 |
비임상 |
대동물 비임상시험 진행중 | |
조직모델 |
인체조직모델 |
피부 각막 안점막 구강점막 |
대체시험법 |
판매 |
OECD TG 등재 진행중 |
화장품원료 |
스템수 |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 원료 |
피부미용 |
판매 |
|
(1. 케라힐)
환자 정상 피부조직에서 분리해서 증식한 뒤 배양하는 자가피부 줄기세포치료제다. 2006년 국내 시판승인을 받았고, 2009년에 산재보험이 시작됐다. 2018년에 건강보험 영역에도 진입할 예정이어서 기대가 크다.
(2. 케라힐-알로)
하이드로겔 타입의 동종 피부 줄기세포치료제로써 독점판매계약을 맺은 다국적제약사 먼디파마가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 심부 2도 화상에 쓰이는데, 한국인 유아유래 피부 줄기세포은행의 동종 피부줄기세포를 이용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필요할 때 즉시 사용 가능한 게 장점이다. 난치성 궤양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현재 임상 논의 중이다.
- 자체 기술이 아닌 미국 하워드 그린 박사의 줄기세포배양기술을 도입하여 만든 홀로덤, 칼로덤을 제조, 판매하는 테고****의 시총 2,750억원
(3. 케라힐Ⅱ)
복합피부세포치료제 케라힐-Ⅱ는 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2018년에 임상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멜라닌색소세포, 피부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복합재생과 멜라닌색소세포로 인한 피부색 복원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4. 플루서브겔)
플루서브겔은 상처부위로 줄기세포나 혈관내포세포, 피부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촉진시키는 펩타이드성분의 상처치료제다. 케라힐-알로와 마찬가지로 하이드로겔에 의해 상처부위에 습윤환경이 조성돼 염증반응 조절, 세포증식과 이동, 상처치유 등을 돕는다. 일반성처, 난치성 궤양을 타깃으로 일반의약품으로 개발 중인데, 현재 복지부 지원을 받아 비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다.
- 후시딘, 마데카솔은 치료환경을 개선해 주는 제품이고 플루서브겔은 줄기세포 가동화 기전의 원리('네이처'지 논문게재)를 이용하여 상처 자체를 낫게해 주는 치료제임
(5. 카티라이프)
관절염 치료는 증상 완화 뿐 아니라 관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적 재생이 필요하다. 카티라이프는 환자 관절외연골조직에서 분리한 연골세포를 증식 배양해 무지지체 조직공학기술로 만든 연골조직이다. 환자 나이에 상관없이 쓸 수 있고, 분화조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골재생이 확실하고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게 최대 장점이다. 주입식 이식이어서 수술이 간단하고 환자의 회복속도도 줄일 수 있다. 퇴행성 또는 반복적 외상으로 인한 골관절염환자가 타깃인데, 현재 2상 임상을 끝내고 내년 하반기에 허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의 줄기세포·재생의료분야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과제에 선정돼 임상시험과 품목허가를 지원받고 있다.
- 품목허가 후 LG화학과 판권계약. 바솔이 제조, LG화학이 영업 및 판매
- 바솔처럼 초자연골(유리연골)이 아닌 섬유질 연골로 재생되는 카티스템을 제조, 판매중인 메디***의 시총 7,700억원
- 티슈진은 2조5천억에 육박하더군요.
(6. 카티라이프-알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범용성을 넓힌 후속제품 카티라이프-알로의 경우 현재 비임상시험 중이다. 소아 관절외 연골조직에서 연골세포를 분리 배양해 세포은행을 구축, 세포원으로 사용하는 동종 카티라이프다.
- 동종 연골세포치료제는 바솔의 최초임
(7. 리포카티젠)
카티라이프 외에 유전자도입 동종 줄기세포치료제인 리포카티젠도 현재 비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관절강내 주사로 관절염 진행을 억제하고 연골을 재생시키는데, 소스는 지방조직에서 채취한 지방줄기세포다. 동국대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 정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과제를 수주해 현재 비임상과 IND를 지원받고 있다. 2018년에는 임상시험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LG화학과 공동개발, LG화학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통증완화 및 퇴행성진행 지연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연골재생은 나타나지 않은 인보사를 제조, 판매하는 티**의 시총 2조4000억원
(8. 인체조직모델)
인체조직모델은 프랑스 로레알, 미국 마텍이 주도한다. 한국에서는 우리가 선도하고 있다. 인체조직모델은 인체유래 세포로부터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해 제조한 실험용 조직과 장기를 말하는데,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화장품 등의 비임상 유효성과 독성 평가, 질병 발생-치료기전 연구와 맞춤형 의약품 개발, 치료용 장기/조직 등에 폭넓게 쓰인다. 화장품 관련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법률이 국회를 통과해 2016년 2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인체조직모델은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에 등재돼야 신뢰성 있는 시험방법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모델개발 뿐 아니라 시험법 개발, 국가주도 검증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검증연구는 식약처의 특수독성과인 'KOCVAM'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2018년에는 OECD 등록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 회사 설립초기부터 개발에 착수해 검증기간만 11년이 걸렸다. 17년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 미국 마텍(MatTek)사의 시총은?
(9. 스템수)
스템수는 줄기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한 피부세포에 최적화된 화장품원료다. 피부재생, 미백, 기능성 원료로 개발해 현재 판매 중이며, 대머리나 아토피용은 개발 중이다.
-줄기세포배양액을 제조, 판매하는 프로****의 시총 1,910억원
=> 국내 비임상과 1상은 가까운 미래에 시총에는 영향이 미미하여
5번, 8번이 시총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팩터 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외주식] 바이오솔루션 내년 전망 케라스킨 (0) | 2017.11.13 |
---|---|
바이오솔루션 (0) | 2017.11.13 |